분류 전체보기 269

유니티 입력 처리 심화 - (6) Action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전에 알아본 Action의 Interaction과 Processor 외에도,Action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한번 다뤄보겠습니다.Interaction이나 Processor 만큼 무거운 내용이 아니니 가볍게 알아보겠습니다.  1) Started VS PerformInput System에서 입력을 하는 경우에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2가지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합니다.바로 started와 performed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기준이 바로 Interaction입니다.둘은 다음을 기준으로 진행합니다.Started : Action에 연결된 키를 누르는 경우 진행Performed : Action에 연결된 모든 Interaction이 완료되는 경우 진행따라서 Started 이후..

유니티 입력 처리 심화 - (5) Action의 Processor

Action에 사용하는 Interaction 말고 이번 포스트에서는 Process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Interaction이 입력키가 동작하는 방식을 설정한다면,Processor는 입력 값을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Interaction과 Processor는 Input에 개별적으로 바인드될 수 있는데,따라서 원하는 Action에만 특정한 Interaction이나 Processor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cessor는 Action의 타입인 Control Type에 의존적입니다.따라서 Any 타입의 경우 어떠한 Processors든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특히 중요한 것은 Processor는 중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이때 위에서 아래의 순서대로 적용..

유니티 입력 처리 심화 - (4) Action의 Interaction

이번 포스트에서는 유니티의 새로운 입력 시스템인 Input System의Action에 설정가능한 Intera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teraction은 입력 시에 Input Event(=콜백함수)를 수행하기 전까지의 설정을 의미합니다.Interaction은 Aciton의 다음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Interaction의 경우 총 5개의 설정값이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5개의 설정값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Hold Hold에서는 Hold Time을 설정하면,키를 입력하고 설정한 Hold Time 이후에 Action에 연결된 이벤트 함수를 호출합니다.Hold Time을 2초로 설정한 뒤에 Save Asset을 하여 저장하였습니다. 이후 실행결과를 보겠습니다.  ..

TCP - UDP의 이해

이번 포스트에서는 TCP와 UDP를 적용하기 이전에 간단하게 이 둘을 훌어보도록 하겠습니다.TCP와 UDP 모두 OSI 7계층 모델을 5개로 나타낸 TCP/IP 모델의 4층에 위치합니다.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두 프로토콜의 차이점을몇 가지 기준으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결 지향성의 시각1 - 1) TCP연결 지향의 시각으로 보면 TCP는 연결형 서비스입니다.연결을 위해 할당되는 논리적인 경로가 있고 전송 순서가 보장된다 1 - 2) UDP연결 지향의 시각으로 보면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입니다.연결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기에 논리적인 경로가 없고 전송 순서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2. 속도와 신뢰성의 시각2 - 1) TCP속도와 신뢰성의 시각으로 보면 TCP는 신뢰성은 높지만 속도..

C# 2024.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