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3

Git을 통한 형상관리 - (3) 스테이징

저번 포스트에서는 Git에 대한 정보를 모아놓은 메타 데이터인 config 파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번에는 작업을 리포지터리에 올려놓기 위한 중간단계인 스테이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 파일을 추가하기 전 git status 실행한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변경사항이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파일을 생성한 후 다시 git status를 실행하겠습니다.  실행한 결과 파일이 추가되었지만 untracked 즉, 추적되지 못하고 얘기하고 있습니다.따라서 git이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이를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두 번째 명령어는 전체 파일을 대상으로 합니다).git add 파일명git add . 위의 명령어를 바탕으로 한번 ..

etc 2024.11.09

Git을 통한 형상관리 - (2) gitconfig 알아보기

https://monstrosite.tistory.com/80 Git을 통한 형상관리 - (1) 간단한 명령어형상관리 영어로는 Version Control은 작업물에 대한 여러가지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저장하는 방법입니다.많은 형상관리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Git을 통해 이를 구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monstrosite.tistory.com이전 포스트에서 배운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경로에 리포지터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그리고 생성된 .git 폴더 안에는 여러가지 파일들이 존재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폴더안의 요소들 중에서 config 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fig 파일은 리포지터리와 관련된 정보를 담아놓은 파일입니다.여기서의 정보는 이메일이나 사용자 ..

etc 2024.11.08

Git을 통한 형상관리 - (1) 간단한 명령어

형상관리 영어로는 Version Control은 작업물에 대한 여러가지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저장하는 방법입니다.많은 형상관리 방법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Git을 통해 이를 구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it은 다음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Git을 설치한 이후로는 파일 경로에서 우클릭 후 추가 옵션에서  위와 같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두 가지 옵션 중에서 위의 GUI는 코드 입력보다는 버튼과 같은 그래픽 요소로 Gi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아래의 Bash는 CLI로 그래픽 요소가 아닌 코드를 입력함으로서 Gi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GUI가 아닌 Bash를 통해 명령어로서 Git을 다루는 부분에..

etc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