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언리얼 엔진을 사용해 빌드의 결과를 확인하려 로그를 열어보면 한글이 깨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윈도우 검색 탭에서 '국가 또는 지역변경'을 검색하시고,
위의 관련 설정 중 '기본 언어 설정'으로 들어가 주세요.
그 후에,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용 언어의 시스템 로캘 변경을 클릭하시고,
Beta: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8 사용을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체크 후, 재부팅을 하시면 언리얼의 로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 위의 방법을 저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저 설정을 적용하고 나면,
언리얼과 관련 없는 프로젝트에 적어놓은 주석들이나 설치한 프로그램의 한글이 깨지는 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Beta상태의 불안정함과 더불어 이 불안정함이 설치되어 있는 모든 요소들에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겪을 문제가 한글 로그를 읽지 못하는 문제보다 크다고 판단해 저는 위 방법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언리얼의 로그 메세지를 영어로 읽되, 정말 불편하다면 위의 설정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728x90
반응형
'언리얼 > 에러 또는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xamo를 통한 간단한 애니메이션 포즈 만들기 (0) | 2024.08.03 |
---|---|
언리얼 에디터에서 C++ 클래스 생성 시에 폴더별로 분류하는 방법 (0) | 2024.07.07 |
오토 세이브 기능 활용하기 (0) | 2024.02.18 |
언리얼 엔진과 C++ 호환에서 live coding과 관련한 문제 (0) | 2024.01.31 |
언리얼 엔진 작업 결과물을 저장할 때 생기는 오류 (0)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