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는 Package Manager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런데 Package Manager를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가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위와 같이 로그가 남겨지며 패키지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검색을 여러 번 해보며 답을 찾아봤지만,
캐시 지우기, 유니티 버전 업 등의 여러 해결책은 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포스트에서 제가 위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Unity\cache
설치 과정에서 따로 경로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유니티에서는 패키지와 관련된 캐시를 위의 경로에 저장합니다.
위의 경로에는 파일이 2개 존재하는데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1) npm 폴더
먼저, npm 폴더에는 유니티가 제공하는 패키지의 정보가 담겨져 있습니다.
이제 문제가 생기는 패키지의 폴더를 확인해보겠습니다.
폴더는 위와 같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다음의 tgz파일입니다.
압축파일 안의 package.json을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ersion을 확인해보면 3.2.2와 같은 패키지의 버전이고,
name을 확인해보면 패키지의 이름을 알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정보를 복사하여 어딘가에 붙여넣기 하여 갖고 있어주시면 됩니다.
(2) packages 폴더
packages폴더로 이동하겠습니다.
packages 폴더에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유니티에 설치된 패키지들의 목록이 나타나있습니다.
이 폴더의 안에 들어가 복사했던 내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name@version
의 이름을 가진 폴더를 하나 생성합니다.
예시의 경우는 com.unity.postprocessing@3.2.2 가 됩니다.
이후 생성한 폴더안에 이전 npm폴더에 위치한 패키지의 tgz파일의 모든 내용을 복사 + 붙여넣기해주시면 됩니다.
(3) 유니티 에디터
다시 돌아와 유니티 에디터를 재시작하고 다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이후 결과를 보면
에러 없이 성공적으로 패키지가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유니티 > 에러 또는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라이트 시트 (0) | 2024.11.07 |
---|---|
유니티 에디터에서 게임을 종료하고 싶은 경우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