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트에서는 Git에 대한 정보를 모아놓은 메타 데이터인 config 파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작업을 리포지터리에 올려놓기 위한 중간단계인 스테이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작업
파일을 추가하기 전 git status 실행한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변경사항이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파일을 생성한 후 다시 git status를 실행하겠습니다.
실행한 결과 파일이 추가되었지만 untracked 즉, 추적되지 못하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git이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을 추적할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이를 위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두 번째 명령어는 전체 파일을 대상으로 합니다).
git add 파일명
git add .
위의 명령어를 바탕으로 한번 실행보겠습니다.
추적하게끔 설정한 뒤 git status를 실행시켜보면 정상적으로 추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변경사항을 commit하는 일만이 남았습니다.
그렇다면 다시 index에서 변경사항을 빼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런 경우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두 번째 코드는 전체 파일을 대상으로 합니다).
git reset 파일이름
git reset .
실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Index에서 파일이 사라져 다시 스테이징해야 한다고 얘기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Index에 저장된 파일에 변화가 생긴 경우 어떻게 할까요?
일반적인 경우는 다시 스테이징하지만 특별한 경우 변화를 추적하지 않기를 원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다음의 코드를 사용합니다 (두 번째 코드는 전체 파일을 대상으로 합니다) .
git restore 파일명
git restore .
기존의 asds 파일에 글자 몇개를 추가한 후 git status를 실행해보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git restore를 입력해보겠습니다.
변경사항이 Index에서 사라져 있음(=unstaging)을 확인하였습니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을 통한 형상관리 - (2) gitconfig 알아보기 (0) | 2024.11.08 |
---|---|
Git을 통한 형상관리 - (1) 간단한 명령어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