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자료형 어노테이션

monstro 2024. 11. 15. 21:40
728x90
반응형

기본적으로 파이썬은 변수의 자료형 문제에 대해서 자유롭습니다.

그렇지만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고 협업을 하는 상황이 되면

파이썬의 자유로운 방식은 소통의 불화를 불러오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위한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어노테이션이란?

변수를 선언할 때 그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해 줌으로써

어떤 타입의 값이 지정될 것인지 직접 알려주는 것이 어노테이션이라고 합니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게 되면 가독성과 협업시의 효율성이 높일 수 있습니다.

파이썬의 경우 3.5 버전부터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파이썬의 어노테이션과 예제

파이썬의 어노테이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수의 경우 아래의 방식을 사용하고

변수이름 : 자료형 = 변수의값

 

함수의 경우 다음의 방식을 사용합니다.

def 함수명(인자 : 인자자료형, 인자1 : 인자1자료형) -> 반환타입 :
    .
    .
    .

 

그렇다면 실제 예제를 통해 어노테이션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변수의 어노테이션
a : int = 10
print(a)

# 함수의 어노테이션
def add(a : int, b : int) -> int:
    return a + b

print(add(1,2))

# 함수에 사용된 어노테이션의 타입을 확인
print(add.__annotations__)

 

실행결과를 확인해보면

 

코드가 문제없이 동작하였고, 어노테이션의 타입도 잘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sure와 Decorator  (0) 2024.11.17
인코딩과 디코딩  (0) 2024.11.16
iterator와 generator  (0) 2024.11.14
python을 통한 주식 관련 정보 추출 (2)  (0) 2024.03.03
python을 통한 주식 관련 정보 추출 (1)  (0)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