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트에서는 Entity Framework Core에서의 데이터 관계 모델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계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두 테이블 간의 연결을 의미하는데,
이런 관계형 모델링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용어가 존재합니다.
- 1) Priamry Key : 기본키, 데이터 테이블에서의 고유 식별자
- 2) Alternate key : 대체키, 기본키를 제외한 기본키가 될 수 있는 나머지 속성들
- 3) Principal Key : Priamry Key + Alternate key, 외래 키가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 4) Foreign Key : 한 테이블에서 참조하는 다른 테이블이 갖고 있는 기본키
- 5) Navigation Property : 한 테이블에서 갖고 있는 다른 테이블을 의미하는 프로퍼티
위와 같은 용어가 존재합니다.
데이터 테이블간의 관계는 데이터 테이블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데이터 모델링 별로 관계를 표현하는 각기 다른 방법이 존재합니다.
Convention / Annotation / Fluent API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1) Convention 모델링에서의 관계 표현
우선 가장 기본적인 Convention 모델링에서 DbContext를 정의할 때,
DbSet을 사용하여 EF외에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Entity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된 Entity에서 외래키를 찾아 관계가 성립되었는지 확인하는데, 방법은 총 3가지입니다.
- PrincipalKey 이름의 프로퍼티
- 클래스PrincipalKey 이름의 프로퍼티
- NavigationProperty 프로퍼티 + PrincipalKey 이름의 프로퍼티
위 3개의 프로퍼티가 각 Entity 별로 존재하는지, 일일이 확인하여 관계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합니다.
확인하여 외래키를 찾았다면, 해당 외래키 프로퍼티의 nullable 여부에 따라
- Required 관계 : 해당 프로퍼티가 nullable이 아닌 경우
- Optional 관계 : 해당 프로퍼티는 nullable인 경우
위와 같이 2개의 관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합니다.
관계 설정의 적용은 삭제 정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외래키 프로퍼티를 명시적으로 알려주지 않은 경우
EF Core에서 Shadow Key의 형태로 자동으로 데이터 테이블에 넣어주게 됩니다.
Shadow Key는 숨겨진 형태의 Property로서, 사용은 하지 않지만 특정 함수로 Read / Write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동작하는 Convention 모델링에서는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존재하는데,
데이터 테이블에서 서로 참조하는 1 : 1 관계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Data Annotation 모델링을 사용하게 됩니다.
2) Data Annotation 모델링에서의 관계 표현
Data Annotation 모델링에서 데이터 테이블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ForeignKey 어트리뷰트를 지정하여 표현이 가능합니다.
해당 어트리뷰트가 수식된 프로퍼티는 외래키로 동작하게 됩니다.
3) Fluent API 모델링에서의 관계 표현
Fluent API 모델링에서는 NavigationProperty를 통한 데이터 테이블간의 관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NavigationProperty에 대해 각 관계에 맞는 함수를 사용하여 관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1 : 1 관계 : HasOne 메서드 + WithOne 메서드
- 1대 多 관계 : HasMany 메서드 + WithOne 메서드
- 포함 관계 : OwnsOne 메서드
또한 이외에도 Fluent API 모델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몇 가지 함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OnDelete : 관계를 맺은 Entity가 삭제될 때, 해당 데이터 테이블을 삭제할지를 결정하는 메서드
- IsRequired : 외래키를 갖고 있을지 말지를 설정하는 메서드
- HasPrincipalKey : Principal Key를 설정하는 메서드
- HasContraintName : 관계에 대한 외래 키 제약 조건 이름을 설정하는 메서드
NavigationProperty를 설정하는 경우 ICollection 외에도 IEnumerable이나 List, HashSet도 존재하지만,
가장 간단하게 구성된 ICollection이 성능상 가장 좋습니다.
4) 데이터 테이블의 관계 : Table Per Hiearchy 관계
Table Per Hiearchy, 줄여서 TPH 관계는 다른 관계와는 다르게
두 개의 데이터 테이블을 상속을 통한 하나의 테이블로 관리하는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때 합쳐지는 테이블은 서로 연관성이 있어야 하고
이런 동작방식의 장점은 연관성이 있는 모든 테이블을 탐색하지 않고 하나의 테이블만 탐색한다는 점입니다.
지금까지 웹서버와 관련된 일련의 포스팅은 인프런 Rookiss님의
https://www.inflearn.com/course/%EC%9C%A0%EB%8B%88%ED%8B%B0-mmorpg-%EA%B0%9C%EB%B0%9C-part6
[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6: 웹 서버 강의 | Rookiss - 인프런
Rookiss | , MMORPG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술, C# + Unity로 Step By Step! 🕹️ [사진] 기초부터 끝판왕까지, MMORPG 개발하기 🎮 아무런 지식도 없다는 가정하에 누구나 부담없이 차근차근 수강할 수 있도
www.inflearn.com
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구 버전이라 현업과는 차이가 있지만,
웹 서버의 동작 원리나 구성을 배워보기에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웹서버 > C# +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3) - 웹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tity Framework Core 데이터 모델링 (0) | 2025.05.06 |
---|---|
Unity와 WebApi 연동 (0) | 2025.05.05 |
Blazor와 Web API 연동 (0) | 2025.05.05 |
WebApi #3 (0) | 2025.04.30 |
WebApi #2 (0) | 2025.04.29 |